124-종이접기로 다용도 연필꽂이 만들기(방법과 순서)---간단하고 쉬운 색종이 접기
♥지금애 종이접기♥어린이와 어르신 종이접기 프로그램 활동에서 함께 만드는 연필꽂이 접기 방법과 순서를 소개합니다.
다용도 꽂이 / 연필꽂이 종이접기(프로그램 연구 : 사단법인 한국종이접기협회 김포 종이접기 /
오경순).
연필꽂이를 접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양에 대한 변화로 필요와 개성을 겸할 수 있는 재미있고 쉬운 종이접기 다용도 꽂이 만들기입니다..💙
간단하고 쉬운 색종이 접기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연필꽂이 만들기
쉬운 종이접기로 다용도 연필꽂이 만들기
어린이와 노인 종이조형 활동에서 연필 꽂이를 만들 때 안전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풀칠을 최소화 하고 변화된 모양으로 만들어 다용도 꽂이로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.
종이접기의 방법은 아주 쉽고 간단하게 하여 초보자들도 자신감을 갖고 만들 수 있습니다.
어린이와 노인 종이접기 활동에서 함께 할 때에 '문접기'의 반복적인 방법으로 기억하며 할 수 있으며 완성에 이르기까지 자신감을 갖고 할 수 있으며 인지 강화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사용하는 종이를 적절히 사용하면 취미와 일상의 소품으로 만들어 보아도 좋은 다용도 연필꽂이 만들기입니다.
연필꽂이 접기를 하며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서로 서로 모양 만들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재미있는 종이접기 시간이 될 수
있습니다.
이제, 색종이 준비 되었으면 함께 만들어보도록 할게요.
1-다용도 연필꽂이 만들기 준비물
◆ 연필꽂이의 각 부분에 필요한 재료
① 연필꽂이 바닥 - 25cm × 25cm / 1장일반 색종이로 접을 때에는 15cm의 종이로 합니다.
② 옆틀 - 25cm × 12.5cm / 2장
색종이로 할 때에는 반으로 접어 자른 크기로 합니다.
③ 안쪽 높은 꽂이 - 24cm × 24cm / 1장
안쪽 낮은 꽂이 - 24cm × 12cm / 1장
두꺼운 종이로 만들 때의 경우 조절한 크기입니다.
④ 연결 - 6cm × 6cm / 2 ~4장
다 만들고 몇 장이 필요한지 정하도록 합니다.
⑤ 꾸미기
구슬 장식이나 스티커 등으로 개성있게 표현해요.
어린이가 사용해도 안전한 것으로 준비해요.
기초만 접을 때는 접착제가 없어도 할 수 있어요.
⑦ 생각 더하기
종이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일상에서 필요한 모양으로 만들어 보도록 해요.
이제, 다용도 꽂이 만드는 준비물 체크 다 하였으면 색종이 준비하고 같이 접어보도록 할게요..💙
2-종이접기 연필꽂이 만들기 방법과 순서
각 부분을 모두 따라 접은 후에, 종이를 접는 순서와 방향은 각자가
편하게 할 수 있는 위치로 놓고 하도록 해요.
1. 연필꽂이 바닥 부분 접기
ⓐ 사각 접기 두 번을 하였다 편 후 양옆을 마주 접었다 펴요.
위와 아래도 네모를 접었던 중앙의 선에 맞춰 마주 접어요.
ⓑ 중간에 생긴 사각형 모양 위에 미리 준비해 놓았던 두꺼운 종이를 넣어 붙여요. 문접기를 덮으면서 중앙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풀칠을 해요.
ⓒ 양옆의 모서리를 삼각으로 마주 접어요.
ⓓ 양쪽 모두 삼각으로 접은 부분을 접었다 펴요.
자연스럽게 잘 접히는지 확인해요.
ⓔ 양옆의 삼각 부분을 반만 살짝 접었다 펴요.
너무 세게 접지 않도록 해요.
ⓕ 바닥 부분이 완성되었어요.
이제, 다용도 꽂이의 옆 틀을 만들어 볼게요.
2. 연필꽂이 옆 틀 부분 접는 순서
◆ 바닥 부분 접은 종이를 반으로 접어 자른 크기로 해요.
바닥 부분의 마지막 접은 모서리와 높이를 맞추기 위한 크기와 접기 방법이에요.
가로 방향으로 놓고 하는 설명입니다.
ⓐ 옆으로 반을 접은 선에 맞춰서 양옆을 마주 접었다 펴요.
네모를 접었던 선에 맞춰 마주 접는 것은 종이접기 기본형에서는 '문접기'라는 이름을 사용해요.
오늘은 어린이와 어르신들이 '문접기'를 자꾸 자꾸 하는 날이에요.
ⓑ 옆으로 길게 놓고 위로 반을 접었다 펴요.
ⓒ 왼쪽만 모서리를 삼각으로 접어요.
ⓓ 옆으로 길게 놓은 모양이며, 중앙의 가로선에 맞춰서 위와 아래를 마주 접어요.
마주 접는 것을 무슨 접기라고 했지요?
종이접기 방법의 약속된 언어들을 말하면서 따라하다 보면 접는 설명을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.
ⓔ 왼쪽의 한쪽만 뾰족한 모서리가 있는 옆으로 긴 모양이 되었으며 아래로 뒤집어요.
ⓕ 세로의 선이 3군데 있음을 확인해요.
중간의 선 먼저 접어서 쓱싹 모양을 가다듬어 눌러 접었다 펴요.
양쪽의 두 선도 모양이 반듯하게 접었다 펴요.
종이의 두께로 인하여 조금씩 삐뚤어질 수 있으니 차분하게 잘 맞추면서 하도록 해요.
같은 방법과 모양으로 2장을 접어서 준비해요.
바닥 부분과 옆 틀 부분 모두 잘 접었지요?
아직 못다 했으면 조금 기다릴게요. 천천히 해요.
이제, 모두 다 잘 한 것 같아요. 잘했어요. 이제 옆 틀을 조립할 거예요.
3. 연필 꽂이 옆 틀 조립하는 방법
ⓐ 옆 틀 접은 부분의 한쪽은 뾰족한 모서리가 있으며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놓으세요.
ⓑ 마주 접은 부분이 보이도록 놓았는지 확인해요.
ⓒ 뾰족한 부분에 풀칠하고 사각으로 된 끝 부분을 넣어 조립해요.
ⓓ 맞은 편도 같은 방법으로 조립해요.
ⓔ 직사각형의 모양이 되기도 하며 육각형의 모양이 되기도 해요..💙
이제, 바닥 부분과 옆 틀 부분을 조립해 볼 거예요.
4. 연필꽂이 바닥 부분에 옆틀을 조립하기
ⓐ 옆 틀을 납작하게 눌러 놓아요.
옆틀은 아래 바닥 부분은 위에 놓았어요.
ⓑ 바닥 부분의 작은 모서리를 옆 틀 중앙의 아래쪽 칸에 끼워 조립해요.
ⓒ 바닥 부분을 아래로 내려 꼭꼭 눌러 접어요.
어린이와 노인 종이접기 활동에서 함께 할 때는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풀칠을 하면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어요.
ⓓ 옆 틀을 펼치면서 바닥 부분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놓아요.
ⓔ 반대쪽도 바닥의 작은 모서리를 옆 틀의 아래쪽으로 끼워 조립해요.
ⓕ 바닥 위에 옆 틀이 조립된 모양이에요.
조립하는 과정까지 모두 하였을까요?
하니 어린이는 아래쪽으로 조립하는 대신 위쪽으로 끼우고 풀칠을 하여 고정해 놓았어요. 참 잘했어요. 그래도 기능과 모양이 같으므로 어린꼬마와 노인들과 함께 할 때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.
◆ 한 가지 더 접어요.
준비물에서 보았던 작은 종이를 접어서 연결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 거예요.
① 세모 두 번과 네모 두 번을 접은 후 네 곳의 모서리를 중앙으로 모아 접는 '방석 접기'를 해요.
② 작은 사각형 모양이 되었으며 삼각형이 되도록 접어요.
삼각형은 어디에 조립하고 붙일 것 인지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접을 수 있어요.
③ 몇 장을 접을 것인지 완성의 모양을 만들면서 추가하여 접도록 해요.
5. 삼각 기둥 접기로 연필꽂이 칸 만들기
ⓐ 틀 안에 삼각기둥 접기를 하여 칸막이를 해요.
하나를 접어 넣어도 되고 두 개를 접어 넣어도 좋아요.
똘똘이 친구와 방실이 어린이는 몇 개의 칸막이를 해서 멋지게 할 것인지 기대가 되는 시간이에요.
ⓑ 준비물에서 삼각 기둥 접기를 하는 크기가 조금 다르다는 것을 보았어요.
종이의 두께로 인하여 접는 과정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조정한 것이에요.
경우에 따라서 긴 삼각 기둥만 할 수도 있고, 작은 기둥만 접어서 넣을 수 있어요.
각자 개성 있는 모양으로 만들기로 해요.
◆ 방석접기로 만들어 놓은 것은
ⓓ 삼각 기둥과 옆틀을 연결하기도 하고, 바닥과 옆 틀을 연결하는데 사용해요.
ⓔ 옆 틀은 안쪽에 담아 놓는 물건에 따라 사각 연필꽂이가 되기도 하고 육각 연필꽂이가 되기도 해요.
바닥 부분에서 옆 틀이 약간 맞지 않는 부분은 정상적인 모양이에요.
ⓕ 다용도 연필꽂이가 완성된었어요.
모두 완성하였나요?
사각 연필꽂이로 만들기와 육각 연필꽂이로 만든 것이나 모두 멋지게 참! 잘했어요. 삼각 기둥 접기로 개성있게 표현하기로 해요.
6. ☞ 다용도 연필 꽂이의 칸막이로 사용하는 삼각기둥 접기
ⓐ 사각 접기 두 번을 접었다 편 선에 맞춰 '사방문접기'를 하였다 펴요.
ⓑ 네 곳의 모서리를 삼각으로 접어요.
ⓒ 다시 '문접기'를 해요. 뒤집어요.
ⓓ 중간에 있는 세 줄을 다시 접었다 펴요.
ⓔ 모서리를 서로 마주 끼워 조립해요.
ⓕ 삼각 기둥 접기를 예쁘게 접는 방법과 사용하는 용도에 대해 위의 파란색 안내 글에서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해요.